용의 의학통계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정규성검정 1

Shapiro-Wilk test

검정통계량 W의 원리는 선형모형에서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여 근사적으로 구하려는 해와 실제 해의 오차의 제곱의 합(SS)이 최소가 되는 해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값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, 특히 그 계의 방정식이 어떤 형태인지를 알고 있을 때 방정식의 상수 값들을 추정하는 데에 사용되는데 즉 여기에서는 모수값들을 찾는데 이용되어집니다 $$ E(x)_{i}^{}=m_{i}^{} $$ $$ m=(m_{1}^{},....m_{n}^{})^T $$ 여기서 벡터 m은 표준 정규 분포에서 샘플링된 독립적이고 동일하게 분포된 확률 변수의 기대값 으로 구성됩니다. $$ cov(x_{i}^{},x_{j}^{})=v_{ij}^{} $$ $$ V=(v_{ij}^{}) $$ 여기서 ..

통계적방법론/비모수통계학 2022.03.29
이전
1
다음
더보기
프로필사진

용의 의학통계

통계학을 전공하였고 의학통계학 학부연구생으로 있었지만 외국대학원을 가고싶어 준비중인 biostatistiction & medical AI developer 입니다 :)

  • 분류 전체보기 (4)
    • 통계적방법론 (2)
      • 비모수통계학 (2)
      • 생존분석 (0)
      • 회귀분석 (0)
    • 의료 인공지능 (1)
      • auto score (1)
    • SAS Programming (0)
      • SAS BASE (0)
    • 자격증 (0)
      • SQLD (0)
      • 사회조사분석사 2급 (0)
      • 빅데이터 분석기사 (0)
      • ADSP (0)

Tag

의료인공지능, 의학통계, 머신러닝, 통계, 정규성검정, 딥러닝,

최근글과 인기글

  • 최근글
  • 인기글

최근댓글

공지사항

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

  • Facebook
  • Twitter

Archives

Calendar

«   2025/05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
방문자수Total

  • Today :
  • Yesterday :

Copyright © Kakao Corp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